"채식주의자" 번역 논란(펌)
없는 문장 넣고 원문 빼고..『채식주의자』 번역 논란
정과리 "원작 훼손한 작품창작 수준"
"원작의 맛 살리며 이해 돕는 의역
심각하지 않다면 괜찮아" 의견도
정씨는 ‘한국문학의 세계화는 가능한가?’라는 제목의 글에서 『채식주의자』의 첫 문단을 문제 삼았다. 한글 원문과 2010년 자넷 홍의 영어 번역, 작가 한씨에게 맨부커인터내셔널상을 안긴 영국인 데버러 스미스(29)의 2015년 번역을 비교했다.
이에 따르면 주인공 영혜의 외모를 묘사하는 대목에서 ‘각질이 일어난 노르스름한 피부’라는 구절을 자넷 홍은 ‘She had chapped sallow skin’으로, 스미스는 ‘jaundiced, sickly-looking skin’으로 각각 번역했다. 자넷 홍이 ‘chapped’로 번역한 ‘각질이 일어난’에 해당되는 영어 번역이 스미스의 번역본에는 없다는 얘기다. 남편이 아내 영혜의 외모에서 평범한 사람이라는 인상을 받았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서 스미스는 원문에는 없는 두 문장 ‘told me all I needed to know’ ‘I couldn’t help but notice her shoes’를 차례로 집어넣었다. 그 결과 ‘평범하던 영혜가 채식주의자가 되고 나서 특별한 사람이 됐다’는 원작의 취지가 스미스 번역본에서는 ‘영혜는 특별할 정도로 평범한 사람이었다’는 식으로 느낌이 달라졌다는 게 평론가 정씨의 주장이다.
지난해 『채식주의자』의 맨부커 수상은 미처 모르고 있던 ‘우리 안의 보물(한강)’을 재발견한 의미도 있지만, 한국문학 세계화를 위해서는 역시 좋은 번역이 필수적이라는 활발한 논의를 이끌어내기도 했다. 난점은 무엇이 바람직한 번역인지, 번역 과정의 원작 왜곡을 어느 선까지 용인할 수 있는지에 대한 확립된 모범답안이 세계적으로도 없어 보인다는 점이다.
정과리씨는 전화 통화에서 “스미스의 번역이 바람직한지 아닌지 솔직히 헷갈린다. 첫 문단만을 비교했을 뿐 내 발표 원고가 완전한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문학평론가 조재룡(고려대 불문과 교수)씨는 계간 문학동네 봄호에 발표할 글에서 한 발 더 나간 주장을 펼칠 예정이다. “한국어를 배운 지 3년밖에 되지 않은 스미스의 한국어 실력 부족으로 인해 한글 원본에서 주어를 생략한 문장의 경우 이를 잘 살리지 못하는 등 오역으로 볼만한 대목들이 상당히 있다”고 주장했다. 조씨는 “거의 작품 리라이팅 수준인데, 스미스의 영어 문장 자체는 뛰어나며 그렇기 때문에 상을 받은 것이어서, 맨부커 수상은 한글 원본 『채식주의자』의 승리가 아니라 영어판 『Vegetarian』의 승리”라고까지 했다.
왜곡·생략과 오역은 또 다른 문제다. 번역가 김석희씨는 “매끈한 번역을 위해 원본의 중요한 문장을 뺄 경우, 정도의 문제겠지만, 이는 맞냐 틀리냐의 문제라기보다 온당한 것이냐 그렇지 못하냐의 문제가 된다. 도덕적 잣대와 미학적 잣대 중 어느 것을 적용할 것이냐에 따라 판단이 달라질 것”이라고 했다. “심각하지 않다면 작품의 원래 맛을 살리는 창작 수준의 번역을 지지한다”고 했다.
이영준 경희대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도 “ 한 나라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문화적 면역력이 강해지면 그 나라의 문학 번역은 원전을 그대로 살리는 방향으로 간다”고 말했다. 그렇게 되기까지 한국문학 번역은 갈 길이 멀다는 얘기다. 조재룡씨는 “오류 없는 번역을 위해 한국문학을 연구하는 해외 학자들에 대한 지원 확대가 시급하다”고 했다.
신준봉 기자 inform@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