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관게(五觀偈)란 ?
공양하기 전에 마음을 가라앉히고 생각해야할 다섯 가지를 말한다. 우리가 공양을 하기 전에 합장하고 정중하게 예를 올리는 것이 바로 오관게의 예인 것이다. 그 다섯 가지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計 (계) 功 (공) 多 (다) 小 (소) 量 (양) 彼 (피) 來 (래) 處 (계공다소양피래처)
공의 다소를 헤아리고, 그의 온 곳을 헤아린다. 이 음식이 어디에서 왔는가? 로도 해석이 된다.
지금부터 드는 공양이 상에 오르기까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손을 거쳐 왔는가를 생각하여, 그 사람들의 노고에 대하여 진심으로 감사한다. 또한 이들 음식물을 길러준 햇빛, 공기, 흙, 물, 등 자연의 은혜에도 감사한다.
둘째는: 忖 (촌) 己 (기) 德 (덕) 行 (행) 全 (전) 缺 (결) 應 (응) 供(공) (촌기덕행전결응공)
자기의 덕행의 전결을 헤아려서 공양에 임한다. 덕행이 부족한 나로서는 받기가 부끄럽네,로도 해석이 된다. 공양을 하는 나는 남을 위한 일을 얼마나 해 왔는가? 과연 이 음식물을 받을 자격이 있는 것일까 하고 잘 반성해본다.
셋째는: 防 (방) 心 (심) 離 (이) 過 (과) 貪 (탐) 等 (등) 爲 (위) 宗(종) (방심이과탐등위종))
마음을 가로막고 잘못을 모르는 것은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에서 비롯된다. 마음의 온갖 욕심 성냄 어리석음을 버리고, 로도 해석이 된다. 우리들은 공양에 임하여 무의식중에 음식을 가리며, 맛 좋은 것은 더 먹고싶어하는 탐하는 마음을 일으키고, 맛없는 것에는 투덜거리며, 화를 낸다든지 한다. 탐(貪) 진(瞋) 치(痴)의 삼독으로 마침내 지옥 아귀 축생의 삼악도(三惡道)에 빠져 버리는 것이라는 것을 잘 반성한다.
넷째는: 正 (정) 思 (사) 良 (양) 藥 (약) 爲 (위) 療 (료) 形 (형) 枯 (고) (정사양약위료형고)
정말로 양약을 일삼는 것은 형고(육체의 고사)를 고치기 위함이다. 육신을 지탱하기 위한 양약으로 알고, 로도 해석이 된다. 공양을 하는 것은 굶주림이나 갈증을 풀고, 육체가 고사하지 않기 위한 양약으로서 생각하면 된다.그렇게 하면 탐하는 마음이나 미련함이나 진노하는 마음도 일어날 리가 없다.
다섯째는: 爲 (위) 成 (성) 道 (도) 業 (업) 應 (응) 受 (수) 此 (차) 食(식) (위성도업응수차식)
성도(成道)를 위함 때문에 지금 이 공양을 받는다. 도업 즉 (성도(成道)을 이루고자 이 공양을 받습니다. 로도 해석이 된다. 우리가 공양을 하는 최종의 목적은 성도 하기위함이다. 즉 참도를 성취하기 위함이지, 결코 먹기 위해서인 것은 아니다.
오관게(五觀偈)
이 음식이 어디서 왔는고 내 덕행으로는 받기 부끄럽네
마음의 온갖 욕심 버리고 몸을 지탱하는 약으로 알아 도업을 이루고자 이 공양을 받습니다.
계공다소 양피래처(計功多少 量彼來處) 촌기덕행 전결응공(忖己德行 全缺應供)
방심리과 탐등위종(防心離過 貪等爲宗) 정사량약 위료형고(正思良藥 爲療形枯)
위성도업 응수차식(爲成道業 應受此食)
'수업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은 아씨들 (0) | 2021.08.24 |
---|---|
Melody, 1971. (0) | 2019.08.03 |
어느날 밤에 생긴 일(클라크 게이블, 끌로데뜨 꼴베르) (0) | 2019.01.31 |
하오의 연정(게리 쿠퍼, 오드리 햅번) (0) | 2019.01.31 |
모정, Love is a many splendored thing (0) | 2019.01.10 |
댓글